콘텐츠 바로가기

제 2 편 그리스도 신비의 기념

제 2 편 그리스도 신비의 기념가톨릭교리서

내용

  • 제2절 파스카 신비와 교회의 성사
  • 1113 교회의 모든 전례 생활은 성찬의 희생 제사와 다른 성사들을 구심점으로 해서 이루어지는 것이다.24) 교회에는 일곱 가지 성사 곧, 세례성사, 견진성사, 성체성사, 고해성사, 병자성사, 성품성사, 혼인성사가 있다.25) 제2절에서는 교회의 이러한 일곱 성사의 공통점을 교리적 관점에서 다룬다. 성사 거행의 공통점은 제2장에서 설명할 것이며, 각 성사의 고유한 면은 제2부의 주제가 될 것이다.
  • I. 그리스도의 성사
  • 1114 우리는 “성경의 가르침과 사도전승과……교부들의 일치된 의견을 충실히 받아들여”,26) “신약의 성사들이 모두 우리 주 예수 그리스도에 의해 세워졌다.”27) 하고 고백한다.
  • 1115 예수님의 나자렛 생활과 공생활 동안 그분의 말씀과 행위는 이미 구원을 위한 것이었다. 그것은 예수님의 파스카 신비가 지닌 능력을 미리 보여 주었으며, 모든 것이 이루어졌을 때 교회에게 주어질 것을 예고하고 준비하였다. 그리스도의 생애가 드러내는 신비들은 이제 그리스도께서 당신 교회의 봉사자들을 통하여 성사 안에서 나누어 주시는 것의 기초가 된다. “우리 구세주에게서 볼 수 있었던 것이 그분의 성사들로 넘어갔기”28) 때문이다.
  • 1116 성사들은 언제나 살아 계시며 생명을 주시는 그리스도의 몸에서 “나오는 힘”이요,29) 그리스도의 신비체인 교회 안에서 일하시는 성령의 행위이다. 성사들은 새롭고 영원한 계약 안에서 이루어지는 ‘하느님의 걸작’이다.
  • II. 교회의 성사
  • 1117 “모든 진리 안으로”(요한 16,13) 인도하시는 성령을 통하여, 교회는 그리스도께 받은 이 보화를 점차 알아보게 되었고, 하느님의 신비들을 맡은 충실한 관리자로서,30) 성경의 정경과 신앙 교리에 대하여 그랬듯이, 이 보화의 분배에 대해서도 명확히 규정하였다. 이처럼 교회는 세월이 흐름에 따라 자신이 거행하는 전례들 가운데 엄밀한 의미에서 주님께서 세우신 성사는 일곱 가지가 있다는 것을 식별하게 되었다.
  • 1118 성사는 ‘교회를 통하여’, ‘교회를 위하여’ 존재한다는 두 가지 의미에서 ‘교회의’ 성사이다. 성사가 ‘교회를 통하여’ 존재한다는 것은, 교회가 그 안에서 성령의 파견으로 활동하시는 그리스도의 ‘성사’이기 때문이다. 그리고 이 성사들은 특히 성체성사 안에서 삼위일체이신 하느님 사랑의 친교의 신비를 인간들에게 보여 주고 나누어 주기 때문에 “교회를 위한” 것이며, “교회를 이루는 성사”31)이다.
  • 1119 머리이신 그리스도와 더불어 “오직 하나의 신비체”32)를 이루는 교회는, 성사 안에서 “유기적 구조”33)를 지닌 ‘사제 공동체’로서 활동한다. 세례성사와 견진성사를 통하여 사제적 백성은 전례를 거행할 자격을 갖추게 된다. 한편 어떤 신자들은 성품성사를 받아 “하느님의 말씀과 은총으로 교회를 사목하도록 그리스도의 이름으로 세워진다.”34)
  • 1120 서품(敍品) 직무 또는 “직무 사제직”35)은 세례로 받은 보편 사제직에 봉사한다. 서품 직무는 성사들 안에서, 성령을 통하여, 교회를 위하여 그리스도께서 활동하고 계심을 보증한다. 성부께서 강생하신 성자께 맡기신 구원의 사명은 사도들에게 위임되었으며, 사도들을 통하여 그 후계자들에게 위임되었다. 그들은 예수님의 이름으로 예수님을 대신하여 일하도록 그분의 성령을 받는다.36) 이처럼 서품 직무는 사도들이 말하고 행한 것과 전례 행위를 연결하는 성사적인 끈이며, 사도들을 통하여 전례 행위를 성사의 근원이며 설립자이신 그리스도께서 말하고 행하신 것과 연결하는 끈이기도 하다.
  • 1121 세례, 견진, 성품 이 세 성사는 성사의 은총뿐 아니라 성사의 인호(印號), 곧 ‘인장’을 새겨 준다. 이 인호를 통하여 그리스도인은 그리스도의 사제직에 참여하며, 각기 다른 신분과 역할에 따라 교회의 지체를 이룬다. 성령으로 이루어지는, 그리스도와 하나 되고 교회와 하나 되는 이 동화(同化:configuratio)는 결코 소멸될 수 없는 것이다.37) 그리스도인 안에서 영원히 지속되는 이 동화는 은총을 받기 위한 조건이고, 하느님의 보호에 대한 약속과 보증이며, 하느님 예배와 교회 봉사에 대한 소명이다. 그러므로 이 성사들은 결코 다시 받을 수 없다.
  • III. 신앙의 성사
  • 1122 그리스도께서는 “죄의 용서를 위한 회개가 그의 이름으로 모든 민족들에게”(루카 24,47) 선포되도록 사도들을 파견하셨다. “너희는 가서 모든 민족들을 제자로 삼아, 아버지와 아들과 성령의 이름으로 세례를 주어라”(마태 28,19). 성사는 하느님의 말씀과 이 말씀에 대한 동의인 신앙을 통해서 준비되는 것이기에, 세례를 주는 사명, 곧 성사들을 거행하는 사명은 복음 전파의 사명에 포함되어 있다.
  • 하느님의 백성은 그 무엇보다도 먼저 살아 계신 하느님의 말씀으로 모이며……말씀의 선포가 성사 집전 그 자체에 필요하다. 성사는 모두 신앙의 성사이며, 신앙은 말씀에서 생기고 자라나기 때문이다.38)
  • 1123 “성사는 인간의 성화와 그리스도 몸의 건설, 그리고 하느님께 드리는 경배를 지향하며, 표징들로서 교육에도 기여한다. 성사는 신앙을 전제할 뿐 아니라 말씀과 사물로 신앙을 기르고 굳건하게 하고 드러낸다. 그래서 신앙의 성사들이라고 한다.”39)
  • 1124 교회의 신앙은 그 신앙에 초대된 신자들의 신앙에 앞선다. 교회는 성사를 거행하면서 사도들에게서 받은 신앙을 고백한다. 그래서 “기도하는 대로 믿는다.”(또는 5세기 프로스페루스 아퀴타누스가 말한 “기도의 법칙은 신앙의 법칙을 세운다.”)40)는 옛 격언이 생긴 것이다. 기도의 법은 신앙의 법이며, 교회는 자신이 기도하는 대로 믿는다. 전례는 살아 있는 성전(聖傳)을 구성하는 요소이다.41)
  • 1125 그렇기 때문에 어떠한 성사 예식도 사제나 공동체가 마음대로 변경하거나 조작해서는 안 된다. 심지어 교회의 최고 권위자도 전례를 마음대로 바꿀 수 없으며, 오로지 신앙에 순종하고 전례의 신비를 경건하게 존중하는 가운데 전례를 개정할 수 있다.
  • 1126 한편, 성사들은 교회 안에서 신앙의 일치를 표현하고 발전시키기 때문에 기도하는 법은 그리스도인들의 일치 회복을 위한 대화에서 근본 기준의 하나이다.42)
  • IV. 구원의 성사
  • 1127 신앙 안에서 정당하게 거행된 성사는 그 성사가 의미하는 은총을 준다.43) 성사는 그 안에 그리스도께서 일하고 계시기 때문에 유효하다. 세례를 주시는 분도 그리스도이시고, 성사가 의미하는 은총을 주시기 위해 성사 안에서 활동하시는 분도 그리스도이시다. 성부께서는 각 성사의 성령 청원 기도에서 성령의 힘에 대한 믿음을 표현하는 당신 성자의 교회가 바치는 기도를 늘 들어주신다. 마치 불이 자기에게 닿는 모든 것을 태워 불로 변화시키듯이 성령께서는 당신의 힘을 받아들이는 모든 것을 하느님의 생명으로 변화시키신다.
  • 1128 이러한 의미에서 교회는 다음과 같이 단언한다.44) 성사들은 ‘사효적으로’(ex opere operato: ‘성사 거행 그 자체로’) 효력을 가진다. 곧, 단 한 번에 영원히 성취된 그리스도의 구원 업적으로 효력을 가진다. 따라서 “성사는 그것을 주는 사람이나 받는 사람의 의로움이 아닌 하느님의 능력으로 이루어진다.”45) 성사가 교회의 의향에 따라 거행되면 집전자의 개인적인 성덕과 관계없이 그리스도와 그분 성령의 힘이 성사 안에서 성사를 통하여 작용한다. 그렇지만 성사가 맺는 결실은 그것을 받는 사람의 마음가짐에도 달려 있다.
  • 1129 교회는 신약의 성사들이 신자들의 구원을 위하여 필요하다고 말한다.46) ‘성사의 은총’은 그리스도께서 주시는 성령의 은총이며, 각 성사에 고유한 것이다. 성령께서는 당신을 받아들인 사람들을 성자와 같아지게 함으로써 치유하고 변화시키신다. 성사 생활의 효과는 인간을 하느님의 자녀가 되게 하는 성령께서 신자들을 외아들이신 구세주와 근본적으로 결합시킴으로써 하느님의 본성에 참여하는 사람이 되게 하는 것이다.47)
  • V. 영원한 생명의 성사
  • 1130 교회는 “주님께서 오실 때까지”(1코린 11,26), “하느님께서 모든 것 안에서 모든 것이 되실 때까지”(1코린 15,28) 주님의 신비를 기념한다. 전례는 사도 시대부터 교회 안에 계시는 성령의 “마라나 타”(Marana tha! 저희의 주님, 오십시오!, 1코린 16,22)라는 부르짖음을 통해서 그 완성을 향하여 인도되어 간다. 그러므로 전례에서 기원하는 것은 예수님께서 바라시는 것과 같은 것이다. “파스카 축제가 하느님의 나라에서 다 이루어질 때까지……나는 너희와 함께 이 파스카 음식을 먹기를 간절히 바랐다”(루카 22,15-16). 교회는 “복된 희망이 이루어지기를, 우리의 위대하신 하느님이시며 구원자이신 예수 그리스도의 영광이 나타나기를 기다리면서”(티토 2,13) 그리스도의 성사들 안에서 자신의 상속에 대한 보증을 받으며, 이미 영원한 생명에 참여하고 있다. “성령과 신부가 ‘오십시오.’ 하고 말씀하신다.……오십시오, 주 예수님!”(묵시 22,17.20)
  • 토마스 성인은 성사의 표징이 가지는 서로 다른 여러 차원들을 다음과 같이 요약한다. “성사는 전에 있었던 일, 곧 그리스도의 수난에 대한 기억을 되살리는 표징이다. 성사는 그리스도의 수난으로 우리 안에 현재에 이루어지는 일, 곧 은총을 보여 준다. 성사는 수난이 예표하는 것, 곧 장차 나타날 영광을 예고한다.”48)
  • 간추림
  • 1131 성사는 그리스도께서 세우시고 교회에 맡기신 은총의 유효한 표징들로서, 이 표징들을 통하여 하느님의 생명이 우리에게 베풀어진다. 성사 거행의 가시적인 예식은 각 성사에 고유한 은총을 나타내며 이를 실현한다. 성사는 합당한 마음가짐으로 받는 사람들에게서 열매를 맺는다.
  • 1132 교회는 세례 사제직(보편 사제직)과 성품 사제직(직무 사제직)으로 구성된 사제적 공동체로서 성사들을 거행한다.
  • 1133 성령께서는 하느님의 말씀과, 잘 준비된 마음으로 그 말씀을 받아들이는 사람들의 신앙을 통하여, 성사에 참여할 준비를 갖추도록 하신다. 그럴 때 성사는 신앙을 굳건하게 하고 표현한다.
  • 1134 성사 생활의 열매는 개인적이며 동시에 교회적이다. 한편으로 신자 개개인에게는 그리스도 예수 안에서 하느님을 위한 삶을, 다른 한편으로 교회에게는 사랑과 증거의 사명에서 성장을 이루어 준다.
상단(TOP)으로 바로가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