7월 22일은 성녀 마리아 막달레나 축일입니다. 성경은 성녀가 ‘자기들의 재산으로 예수님의 일행에게 시중을 들었고’ 주님의 수난과 매장, 부활을 직접 목격한 증인이었음을 증언합니다.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에 대한 공경은 아주 유서 깊은 전통으로, 중세 후기 성녀의 삶에 관한 여러 가지 전설이 퍼질 정도로 유럽 전역에서 ‘막달레나 컬트’가 크게 유행했습니다.
특히 루카 복음에 나오는 ‘죄 많은 여자’를 성녀와 동일시하면서 성녀는 ‘회개한 죄인’의 상징이 되었고, 이를 표현한 수많은 예술 작품이 만들어졌습니다. 르네상스 시대 이후 교회 미술이나 음악 작품은 성녀의 아름다움을 강조하는 경우가 많았지요.
중세 시대 찬가부터 르네상스 대가들의 모테트와 미사곡을 거쳐 19세기 작곡가 쥘 마스네가 쓴 <마리아 막달레나>까지,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를 소재로 한 음악 작품은 대단히 많습니다. 하지만 성녀를 주제로 한 가장 인상적인 작품들은 역시 바로크 시대에 만들어졌습니다.
당대 오라토리오 작품은 수잔나, 유디트, 에스터 등 강렬한 개성을 지닌 여주인공을 내세우는 경우가 많았는데, 마리아 막달레나 성녀는 그중에서도 가장 인기 있는 소재였기 때문입니다. 오늘 소개하는 작품은 안토니오 칼다라(Antonio Caldara)의 <그리스도 발밑의 막달레나(Maddalena ai piedi di Cristo)>입니다.
칼다라는 이탈리아 베네치아 출신으로, 베네치아를 비롯해 만토바와 바르셀로나, 로마 등 유럽 각지에서 궁정 악장과 인기 있는 오페라 작곡가로 활동을 펼친 후 1716년부터 빈의 황실 악장이 되어 세상을 떠날 때까지 머물며 오페라와 오라토리오 작곡가로 전 유럽에 명성을 떨쳤습니다.
소실된 작품을 포함해 그는 40여 편의 오라토리오를 썼는데, 작품 수로 보나 높은 수준으로 보나 알레산드로 스카를라티나 헨델과 더불어 후기 바로크 시대를 대표하는 오라토리오 작곡가라고 할 만합니다.
<그리스도 발밑의 막달레나>는 칼다라의 초기작으로, 1697년에서 1700년 무렵 고향인 베네치아에서 초연된 듯합니다. 음악은 마리아 막달레나가 ‘지상의 사랑’과 ‘천상의 사랑’ 사이에서 겪는 내적 갈등을 다룹니다. 대본은 풍부한 상상력으로 성녀의 내면을 묘사합니다. 심지어 예수님도 등장해서 바리사이를 꾸짖고 마리아 막달레나를 격려하는 멋진 노래를 부르죠.
칼다라는 서로 다른 음악 형식을 적절하게 조합하고 가사에 색을 입혔으며, 가수들의 뛰어난 기교를 강조하는 동시에 강렬한 감정을 담아내는 데 성공했습니다. ‘지상의 사랑’이 마리아를 달래며 잠재우는 노래에 등장하는 최면적인 베이스 음형, 마리아의 내면적 고뇌를 묘사하며 계속 되풀이되는 16분 음표, 그녀의 눈물을 상징하는 모티브, 세속적인 즐거움을 상징하는 가보트 리듬은 마치 음악으로 그린 그림 같다는 느낌입니다.
글 _ 이준형 프란치스코(음악평론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