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천 청수본당, 2007년 이어 ‘재철거’ 위기

(가톨릭신문)

인천교구 청수본당(주임 김일회 빈첸시오 신부)이 ‘개발’이라는 이름 아래 두 차례나 신앙의 터전을 잃을 위기에 놓였다. 


지난해 7월 국토교통부(이하 국토부)가 발표한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 계획안에 성당 부지가 포함됐다. 계획이 확정될 경우, 성당 철거가 불가피한 상황에 처한 것이다.


본당은 이미 2007년 김포 운양동에 자리 잡고 있을 당시, 김포시의 한강신도시 개발 계획에 따라 강제 이전을 경험한 바 있다. 이후 상가와 컨테이너 등 임시 공간에서 2015년까지 미사를 봉헌하다가, 신자들의 정성과 모금으로 어렵게 성당을 완공했다. 그러나 봉헌 10년 만에 다시 철거 위기를 맞게 된 것이다.


지구 지정 공시는 일방적인 통보였다. 지정 과정에서 본당과의 협의는 전혀 없었다. 김일회 신부는 이에 대해 “절차적 민주주의에 위배되는 일”이라고 지적했다.


본당은 국토부의 지침에 비춰도 성당은 존치 대상이 될 수 있다고 주장한다. 성당 부지가 개발 예정지 경계선에 위치해 현 토지이용 계획상 수용이 가능하고, 2015년에 신축한 건물로 견고해 향후 40년 이상 지역 사회를 위한 공익 시설로 활용될 수 있기 때문이다.


실제로 국토부의 ‘공공주택 업무처리지침’ 제12조의 5는 ‘건축물의 존치가 토지이용계획에서 수용 가능한 경우’와 ‘존치하는 것이 공익상 또는 경제적으로 현저히 유익할 경우’ 등에는 건축물을 존치할 수 있다고 명시하고 있다.


아울러 본당은 성당이 존치되더라도, 향후 개발 지역을 관할할 새로운 성당이 필요하다고 설명했다. 현재 본당 관할 구역은 김포 장기동, 운양동 등으로 개발 예정 구역인 김포 마산동, 양촌읍 일대를 포함하지 않는다.



국토부의 계획대로 4만6000가구 규모의 신도시가 조성되면, 약 1만5000여 명의 신자 유입이 예상된다. 그러나 청수성당의 최대 수용 인원은 700명에 불과하다. 현재도 매주 평균 400명이 교중미사를 참례하는 상황에서 추가 신자를 수용하기에는 역부족이다.


본당은 2024년 10월부터 성당 존치를 위한 활동을 전개하고 있다. 10월 15일 교구장 정신철(요한 세례자) 주교 명의로 「김포한강2 공공주택지구 개발사업과 관련된 천주교 청수성당의 절대적 존치 및 보존을 위한 천주교 인천교구 선언문」을 발표했으며, 11월에는 성당 존치를 위한 5만여 명의 서명부를 재개발 시행사인 한국토지주택공사(LH)에 제출하며 공식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다. 현재는 2차 서명 운동도 준비 중이다.


본당은 존치 여부에 대한 국토부의 최종 결정을 기다리며, 헌법 제20조 1항이 규정하는 종교의 자유가 지켜지길 호소하고 있다. 김일회 신부는 “성당 철거는 신앙 공동체를 와해시키는 일이며, 이는 헌법이 보장하는 종교의 자유를 침해하는 행위”라며 “신자들이 피와 땀으로 지은 성당의 주차장 한 평도 내어줄 수 없다”고 밝혔다.


본당 신자 최미애(리타) 씨는 “2007년 첫 철거 이후 이곳저곳 떠돌던 ‘신앙 유목민’ 생활을 신자들이 몹시 힘들어했다“며 “또다시 성당이 사라지게 되면 신자들이 상실감에 빠져 성당에 나오지 않을까봐 걱정된다”고 우려했다. 이어 “저희는 ‘돈가스 팔아 지은 성당’이라고 부른다”며 “정말 피땀 흘려 하느님의 집을 봉헌했는데, 또 사라질 것을 생각하면 막막하다”고 덧붙였다.


이호재 기자 ho@catimes.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