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르네상스 성당 스케치] 안드레아 팔라디오

(가톨릭신문)

볼로냐 출신의 화가 세바스티아노 세를리오(Sebastiano Serlio, 1475~1554)는 로마의 건축 공방에서 발다사레 페루치의 제자로 활동했고, 페루치로부터 공방에서 보관하고 있던 다량의 밑그림을 물려받았습니다. 


이 중에는 브라만테의 것도 포함되어 있을 터인데, 세를리오는 그 자료들을 바탕으로, 건축의 일반 규칙과 다섯 양식, 비트루비우스의 법칙을 따른 고전 건축의 예들 그리고 실질적인 건축술을 다룬 일곱 권의 ‘건축서’를 출간하였습니다. 세를리오의 건축서는 이탈리아뿐만 아니라 프랑스에서 큰 인기를 얻었습니다.


세를리오와 동향인 볼로냐 태생으로, 또 다른 건축서를 펴낸 건축가는 예수회 본원의 ‘예수 성당(Chiesa del Ges?)’을 설계한 자코모 바로치 다 비뇰라(Giacomo Barozzi da Vignola, 1507~1573)입니다. 그는 로마에서 말년의 페루치를 만났고, 프랑스에서 세를리오를 만났습니다. 그리고 세를리오에 이어서 다섯 가지 오더의 규칙에 대한 건축서를 출간하였는데, 세를리오의 저서보다 학술 면에서 뛰어나다는 평가를 받았고, 이후 3세기 동안 건축학의 교과서로 쓰였습니다.


이후 세를리오의 건축서보다 학문적 깊이가 있고 비뇰라의 저서보다 광범위하게 연구된 「건축 4서(I quattro libri dell''architettura)」가 1570년에 출간되었습니다. 이 책의 저자는 베네치아 공화국의 파도바 출신인 안드레아 팔라디오(Andrea Palladio, 1508~1580)로, 그는 고전의 오더와 고대 로마의 건축물 그리고 팔라디오 본인 작품들의 도해를 이 책에 실었습니다.


팔라디오는 대부인 조각가 빈첸초 데 그란디의 영향으로 조각을 배우기 시작했고, 열세 살부터는 석공으로 일을 하면서 건축에도 관심을 가졌습니다. 2년 후 집안이 비첸차로 이주하였고, 팔라디오는 그곳에서 석공 길드의 회원이 되었습니다. 팔라디오의 이러한 경력은 미켈란젤로나 산미켈리처럼 훗날 건축가로 활동하는 데 영향을 미쳤습니다.



그는 비첸차에 머물면서 석공으로서 성공 가도를 달렸으며, 돌을 다루는 일이 건축의 한 분야이기에 점차로 건축 전반을 배우고 이해하는 건축가로 성장하였습니다. 수년이 흘러 비첸차는 그를 건축가로 만들어준 제2의 고향이 되었고, 그곳에서 팔라디오는 그를 최고의 건축가 대열에 들게 할 행운의 기회를 얻습니다. 서른 살이 되던 해 그의 첫 작품인 ‘빌라 고디(Villa Godi)’를 설계하는 과정에서, 비첸차 출신의 귀족이면서 인문주의자이고 아마추어 건축가이기도 한 잔 조르조 트리시노(Gian Giorgio Trissino, 1478~1550)를 만난 것입니다.


트리시노는 건축에 천부적인 재능을 가진 팔라디오에게 라틴어와 인문학 교육의 기회를 주었고, 로마와 이탈리아의 주요 도시를 함께 여행하면서 고대 로마의 고전 건축과 당대의 르네상스 건축을 보고 배우도록 하였습니다. 이때 팔라디오는 브라만테와 미켈란젤로의 작품에서 큰 영향을 받았으며, 그 영향으로 훗날 그의 작품에 전성기 르네상스의 고전주의와 후기의 매너리즘 요소가 담기게 되었습니다.


비트루비우스의 고대 로마 건축론을 관심 있게 연구한 트리시노는 이탈리아가 로마제국의 영광을 얻기 위해서는 고대 로마의 고전주의에 정통한 건축가가 필요하다고 생각했습니다. 또한 트리시노와 팔라디오는 베네치아 르네상스가 지역주의에 머물지 않고 보편주의로 나가려면 로마의 고전주의를 바탕으로 베네치아 건축을 발전시키지 않으면 안 된다는 것도 알고 있었습니다. 


따라서 고대 로마의 고전주의를 인문학적 소양으로만이 아니라 실제의 건축 기술로 습득하는 것이 중요하기 때문에, 트리시노는 산미켈리와 세를리오에게 팔라디오를 맡기고 도면 작성과 건축 기술 등을 배우도록 하였습니다.


팔라디오가 40대 초반이었던 1550년 그의 든든한 후원자인 트리시노는 세상을 떠났습니다. 하지만 다니엘레 바르바로(Daniele Barbaro, 1514~1570) 대주교가 그의 새로운 후원자가 되었습니다. 바르바로는 팔라디오와 1547년부터 비트루비우스의 「건축론(De Architectura)」을 연구하였고, 9년 만에 「건축론」의 번역본이 바르바로의 이름으로 출간되었습니다. 트리시노가 그랬던 것처럼, 바르바로는 팔라디오가 베네치아 공화국의 주요한 건축물을 수주하여 공화국의 정치적 위상을 높일 수 있도록 하였습니다.


팔라디오는 먼저 비첸차에서 건축 활동을 시작하였습니다. 당시 비첸차는 오래 지속되던 전쟁이 끝나자 도시 재건 사업에 모든 역량을 집중시켰는데, 그런 상황에 어울리는 건축 양식은 매너리즘보다는 전성기 르네상스였습니다. 


실로 비첸차는 그들의 조적(組積) 전통과 어울리는 고전주의 양식을 원했고, 팔라디오는 그들의 요구를 충족시켜 주었습니다. 팔라디오는 먼저 산미켈리와 산소비노의 작품에 나타난 베네치아의 지역주의를 이해하고 완성하려고 노력하였습니다. 그리고 이 양식이 베네치아를 넘어 보편주의 양식이 될 수 있도록 발전시켰습니다.



이 시기에 팔라디오는 그의 빌라와 팔라초가 대형 건축물로 규모가 확장되면서 비첸차를 넘어 베네치아에서 활동하게 되었고, 다수의 성당 건축도 이때 이루어졌습니다. 팔라디오 건축의 특징은 먼저 이전의 건축물들을 종합하고, 여기서 기본 원리를 찾아 규칙화한 다음, 이 규칙을 기본으로 건축의 상황에 맞게 설계에 적용하는 것입니다. 그런 방식으로 팔라디오가 지은 건축물은 90개 이상이 되는데, 이러한 활발한 건축 활동 덕에 그는 1570년에 산소비노의 뒤를 이어 베네치아 공화국의 수석 건축가로 임명되었습니다.


팔라디오의 작품은 빌라, 팔라초, 공공건물, 성당 등 건축 전반에 걸쳐 나타나는데, 이 가운데 대표적인 성당은 산타 마리아 델라 카리타 성당(Chiesa di Santa Maria della Carit?), 산 조르조 마조레 성당(Basilica di San Giorgio Maggiore), 산소비노가 설계한 산 프란체스코 델라 비냐 성당(Chiesa di San Francesco della Vigna)의 파사드, 레덴토레 성당(Basilica del Redentore), 템피에토 바르바로(Tempietto Barbaro) 등이 있습니다.



글 _ 강한수 가롤로 신부(의정부교구 건축신학연구소 소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