기후위기의 피해, 저소득·소외계층에 더 가혹하다

(가톨릭평화신문)
 
▲ 성공회대학교 조효제 교수가 ‘코로나, 기후위기 그리고 인권’을 주제로 강연하고 있다.

 

 


기후위기로 인한 인권 침해 문제를 짚어보고 해결 방안을 모색해보는 자리가 마련됐다.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위원장 황경원 신부)는 4일 서울 명동 가톨릭 회관에서 제20회 ‘가톨릭교회와 세상’ 강연을 열었다.

‘코로나, 기후위기 그리고 인권’을 주제로 강연을 맡은 성공회대학교 사회융합자율학부 조효제(토마스 아퀴나스) 교수는 “기후변화를 이야기하지 않으면 이제 더 이상 21세기의 삶을 이야기하기 어려워졌다”고 진단했다. 기후위기가 인권 침해와 무관하지 않다는 설명이다.

조 교수는 △생명권-생존권 △건강권 △생계권 △분쟁-폭력 증가 △기후 불평등-차별 △법치 붕괴 등 6가지 사례를 들어 기후위기가 인권을 침해한다고 주장했다. 폭염으로 사망률이 증가하고 미세먼지와 전염병 등으로 생명권과 건강권이 위협받고 있다는 것이다. 또한, 기온이 상승하면서 농지 유실, 흉작과 기근, 물 부족, 농어민 감소 등 생계권이 위협받고 이로 인한 개인 간 폭력, 집단 간 폭력 등 분쟁과 폭력도 증가한다고 설명했다. 이와 함께 기후위기는 모든 사람에게 닥치지만 피해는 홀몸 노인, 장애인, 저소득층, 아동에게 차별적으로 발생한다고 주장했다. 기후위기가 가중되고 극단적 위기상황에서는 생존본능에 의한 행동이 나타나기 때문에 사회질서 유지가 어렵고 법의 지배가 붕괴할 가능성도 있다고 했다.

조 교수는 “문제 해결을 위해서는 인식의 칸막이를 허물고 기후위기를 범분야적 문제로 받아들여야 한다”고 강조했다. 기후변화 문제를 환경 문제라는 칸막이에 집어넣어서는 안 된다는 설명이다. 그러면서 “코로나19는 절호의 위기”라며 “절호의 위기를 헛되이 낭비하지 말고 기후위기에 대응할 수 있는 절호의 기회로 만들어야 한다”고 강조했다.

조 교수는 “개인의 환경 윤리 실천도 중요하지만, 더 큰 틀에서 문제를 볼 줄 알아야 한다”고 강조했다. 정치적으로 각성한 시민으로서 행동하고 국가의 온실가스 감축 의무를 감시하고 기후위기를 일으키는 국가와 기업을 추궁해야 한다는 설명이다. 그는 “구조적인 차원에서의 행동과 인식, 개인적인 차원에서의 환경윤리 실천이 같이 가지 않으면 의미가 없다”고 했다. 그러면서 “창조질서라는 측면에서 생명에 대해 생각하고 관점과 윤리관, 세계관을 바로 세워야 한다”고 거듭 강조했다.

서울대교구 정의평화위원회가 마련한 제20회 가톨릭교회와 세상 강연은 코로나19로 인해 유튜브로 실시간 중계됐다.

도재진 기자

djj1213@cpbc.co.kr